본문 바로가기
여유로운 건강

기립성저혈압 증상 및 관리

by 러블리지니 2023. 3. 7.
반응형

혈압이 낮으면 문제일까

-인간의 신체는 심장의 펌프질로 몸속 구석구석 산소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혈압이 낮아지면 혈액의 압력이 낮아지고 중요장기와 신체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신체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혈압을 측정해서 나온 저혈압.
어떻게 관리해야할까
혈압측정

 

저혈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급성 저혈압만성 저혈압

급성 저혈압이란, 고혈압이던 환자가 급격하게 혈압이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급성 쇼크라고도 하며 갑작스러운 저혈압으로 혈액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장기부전이 올 수 있습니다.

(장기부전: 장기의 상태가 나빠지는 것)

만성저혈압이란, 평소에도 혈압이 낮은 것을 말합니다. 혈압이 낮아도 장기와 신체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고

있으므로 대부분 치료를 필수로 하지 않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저혈압 하면 대표적으로 생각나는 것이 기립성 저혈압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사람이 누워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면 어지러움이 들고 쓰러지기도 합니다. 누워 있다가 

앉거나 서있게 되면 혈액이 복부와 다리로 많이 몰리게 되어 상체로 도는 혈액량이 줄어듭니다.

 

저혈압 원인은 무엇인가요

1. 혈액량이 감소

-탈수나 출혈이 있는 경우. 혈액량이 감소하여 저혈압이 될 수 있습니다.

2. 혈압을 낮출 수 있는 약을 복용/투여

-고혈압약을 섭취하거나 혈압을 낮출 수 있는 약을 섭취했을 때 저혈압이 될 수 있습니다.

3. 자율신경계에 장애를 초래하는 질병

-당뇨병이나 심장혈관 질환이 있다면 저혈압일 수 있습니다.

4. 고령의 나이

-노화로 인해 낮아진 혈압을 복구하는 능력이 떨어졌다면 저혈압이 될 수 있습니다.

 

저혈압의 증상은

-두통과 어지러움/호흡곤란/피로감/가슴이 답답함/미열이 있음/맥박이 불규칙하다/속이 메스껍거나 구토가 나옴/

정신이 집중되지 않음/매사가 집중이 되지 않음/무관심/피부가 창백/쓰러짐 혹은 발작/실신

 

혈압을 측정할 때 주의할 점

-한 시간 전에 커피와 담배는 피하세요. 그리고 맥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5분 정도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한 습관

1. 적절한 운동

-튼튼한 혈관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 평소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동은 혈관이 막히거나 딱딱해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부차적인 효과도 가집니다.

신체활동을 활발히 하면 혈관의 탄력성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2. 금주와 수분 섭취

-적당량의 수분을 마셔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합니다.

알코올을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알코올을 분해하기 위해 몸속 수분을 사용하므로 수분이 고갈되어 탈수에 걸릴 수 있습니다.

탈수를 막기 위해 음주는 적당히 하고 되도록이면 금주하도록 합니다.

 

 

 

 

 

 

반응형

'여유로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두의 효능  (1) 2023.03.16
달걀 살모넬라균 조심하세요  (4) 2023.03.11
된장의 다양한 효능  (3) 2023.03.05
슈퍼 푸드 케일과 블루베리의 알고 먹어요  (5) 2023.03.03
오메가-3란 무엇인가  (5) 2023.03.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