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색 소변은 물을 마시라는 신호.
노화는 건조해가는 과정일까??
주름 접힌 바싹 마른 할머니 손과 오동통한 손자의 손. 마치 고목과 새순을 비교하는 듯하다.
실제 아기의 체중의 80%가 물이다. 반면 노인이 되면 수분은 50% 이하로 떨어진다.
성인 남성은 60%, 여성은 피하지방이 많아 55%가 수분이다. 물은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1. 씻어주는 역할을 한다
하천의 풍부한 물이 오염물질과 쓰레기를 쓸어버리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2. 혈액순환을 도와준다.
물이 고갈되면 혈액이 걸쭉해진다.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피가 맑아져 동맥경화를 줄인다.
나쁜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혈관에 끼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3. 땀을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땀은 피부를 건강하게도 한다. 이밖에 배변을 촉진하고 침을 만들며 세포를 싱싱하게 하여 젊어지게 만든다.
문제는 나이가 들수록 갈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목이 마르다고 느낄 때 물을 마신다. 뇌간 시상하부에 있는 센서가 혈액의 농축정도를 감지하여 급수를
요구한다. 이때 물을 마시지 않으면 혈액이 농축되어 혈액순환이 느려지고 몸 세포에는 영양소와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세포 기능이 떨어지고 생명활동도 위험해진다. 이른바 탈수 상태이다.
땅에서 자라던 식물을 화분에 옮겼다고 생각해 보자. 화분에 갇힌 식물은 사람이 정기적으로 물을 주지 않으면
시든다. 중년 이후의 인체는 마치 화분에 심은 식물과 같다. 센서가 노화됐으니 의식적으로 물을 마셔주지 않으면
만성적인 수분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그렇다면 얼마나 마셔야 할까
하루에 몸에서 빠져나가는 수분은 1.3L 정도 된다. 소변으로 1.5L , 땀으로 0.5L, 호흡으로 0.5L 정도 사라진다.
설사가 아닌 변에는 하루 0.1L 정도의 수분이 들어 있다.
이밖에도 눈물, 체액, 침 등 느끼지 못하는 수분 배출이 0.5L나 된다.
이중 우리는 식사를 통해 1.5L를 흡수한다. 또 체내에서 0.2L를 재흡수한다. 따라서 최소 1.4L를 의식적으로 마셔
줘야 한다는 얘기다.
소변 색깔은 유로크롬이라는 황색 색소로 좌우되는데 하루 양이 75mg 정도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소변량이 많아지면 유로크롬이 옅어 무색에 가까우며, 소변량이 적으면 농축되어 소변이 황색으로 짙어진다.
소변은 무색 투명한 색이 건강한 징표다. 소변량이 적다는 것도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신장이 수분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도록 열심히 재흡수하고 있다는 증거다.
식사 중에 물을 마시면 위액이 옅어져 염산에 의한 살균 효과나 소화를 방해한다.
물은 가능하면 식사하기 30분전이나 1시간 전에 마시도록 하자
'여유로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 호르몬을 증가시켜주는 천연 식품1 (10) | 2023.02.15 |
---|---|
혈전 치료와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7) | 2023.02.12 |
뇌출혈 전조증상-일화소개 (4) | 2023.02.07 |
자궁경부암 걸리는 원인 (6) | 2023.02.05 |
당뇨병과 식사 (4) | 2023.02.01 |
댓글